주식스터디

리서치를 잘하는 방법: 쉽고 철저한 경제 데이터 탐구법 💡

mystory7249 2024. 12. 15. 21:05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543wGu8oQSg

 

1. 리서치는 탐험이다

리서치를 잘하려면, "데이터는 어딘가에 반드시 있다"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.
통계청, 협회, 산업 보고서, 심지어 전시회 웹사이트의 숨겨진 섹션까지 데이터는 다양한 곳에 흩어져 있다.
👉 예시: 전시회 웹사이트의 ‘미디어 센터’를 방문해 매달 업데이트되는 산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.

2. 디테일은 놓치지 않는다

로데이터를 정리할 때는 숫자의 흐름과 변화를 눈여겨본다.
데이터가 갑자기 튀는 지점이 있다면, 그 원인을 탐구해야 한다.
✅ 데이터를 단순히 입력하지 말고, 의미를 파악하면서 정리한다.

3. 한 발 더 나아가기

리서치는 항상 "이 정도면 됐다"의 경계를 넘어서는 과정이다.
막히는 순간이 올 때마다 한 발짝 더 나아가 데이터를 찾아보자.
👉 협회에 이메일을 보내거나, 경쟁 국가의 데이터를 참고해 힌트를 얻는 것도 방법이다.


🌟 리서치를 위한 실전 팁

플랫폼/방법설명

통계청, KOSIS 국가별, 지역별, 산업별 데이터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본 사이트.
해외 경쟁사 웹사이트 해외 기업의 IR 자료나 보고서를 참고하면, 해당 산업 트렌드와 경쟁력을 파악할 수 있다.
협회·조합 협회나 조합의 데이터 요청 페이지를 적극 활용해, 요청 이메일을 보내보자.
전시회 웹사이트 전시회 관련 미디어 센터 섹션에 산업 동향 보고서가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다.

📌 키워드 검색 꿀팁

  1. 데이터를 찾을 때 다양한 키워드를 조합하자.
    • 예시: "스마트폰 시장 보고서 2024", "모바일 산업 통계 PDF"
  2. 영어로도 검색해보자. (Global Market Trends, Industry Insights 2024)

간접투자와 리서치: 선택의 기준은?

  • 데이터를 찾고 분석하는 과정이 힘들다면, 간접투자도 좋은 방법이다.
  • 투자 철학이 나와 맞는 펀드매니저에게 맡겨,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자.
    ✅ 간접투자도 충분히 똑똑한 선택이다.

결론: 한 걸음 더 깊게

리서치는 단순히 정보를 모으는 것이 아니라, 그 데이터를 이해하고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.
경제 입문자라면, "한 발짝 더 깊게" 데이터를 탐구해보는 연습을 해보자.
작은 성과들이 쌓여 더 나은 분석가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.